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장·야간·휴일근로 수당 계산법 완벽 가이드 (2025년 기준)

by 인사담당자 멍뭉이 2025. 4. 26.

 

 

헷갈리는 근로수당 계산, 정확히 알고 정당한 보상 챙기세요!

1. 연장근로 수당이란?

연장근로는 1일 8시간 또는 1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시간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연장근로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150%를 지급해야 합니다.

단, 주 12시간을 초과해서는 근로할 수 없으며, 초과 시 특별연장근로 인가가 필요합니다.

2. 야간근로 수당이란?

야간근로란 밤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의 근무를 의미합니다. 이 시간대의 근로는 통상임금의 150%를 지급해야 하며, 연장근로와 겹치면 중복 가산하여 200% 지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휴일근로 수당이란?

휴일(일요일, 법정 공휴일 등)에 근무할 경우에도 150% 수당 지급이 원칙입니다. 만약 8시간 초과 근무 시에는 200%까지 가산됩니다.

  • 휴일 8시간 이하 근무: 1.5배 지급
  • 휴일 8시간 초과 근무: 8시간까지는 1.5배, 초과분은 2배

4. 수당 계산 공식 (2025년 기준)

모든 가산수당의 기준은 통상임금입니다. 통상임금이란 기본급 +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수당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 연장근로 수당 = 연장근로 시간 × 통상임금 × 1.5
  • 야간근로 수당 = 야간 시간 × 통상임금 × 1.5
  • 휴일근로 수당 = 근무 시간에 따라 1.5~2배

⚠️ 연장 + 야간 + 휴일이 중복될 경우 각각 모두 가산됩니다.

5. 실전 예시로 보는 계산법

사례: 통상임금 10,000원 / 1일 3시간 연장 + 2시간 야간근로

  • 연장근로: 3시간 × 10,000 × 1.5 = 45,000원
  • 야간근로: 2시간 × 10,000 × 1.5 = 30,000원
  • 총 수당: 75,000원

※ 단, 야간근로가 연장근로와 겹칠 경우 2배 지급(중복 가산) 가능성 → 총 90,000원

6. 수당 누락 시 대처 방법

  • 사내 임금명세서 확인
  • 회사와 1차 조율 → 해결되지 않으면 노동청 진정
  • 지급 기한은 근무월 익월 15일까지, 이후는 임금 체불 간주

※ 임금체불 신고는 고용노동부 1350 또는 가까운 노동청에서 가능합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야간근무를 2시간 했는데 연장근로는 아닌가요?
    A. 하루 8시간 이내라면 연장근로는 아니지만, 야간 수당은 적용됩니다.
  • Q2. 연장근무 수당을 포기하는 계약이 가능하나요?
    A. 불가능합니다. 근로기준법보다 불리한 계약은 무효입니다.
  • Q3. 주휴일(일요일)에 출근하면 무조건 수당 받나요?
    A. 네. 주휴일 근로는 법적으로 휴일근로에 해당하며 수당 지급 대상입니다.

마무리: 연장·야간·휴일근로 수당은 법으로 보장된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2025년 현재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꼼꼼히 체크하세요. 근로기준법은 우리 모두의 노동권을 지켜주는 기본입니다.